수익 모델
•
SaaS 구독형 모델 (Subscription-based SaaS; MRS Analytics 제품군)
- 병원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연간 또는 월간 단위의 라이선스 제공.
(per-site 또는 per-scan 단가 기반으로 매출 발생)
•
진단당 과금 모델 (Pay-per-Use; MRS Diagnostics 제품군)
- 핵심 비즈니스 모델로서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 CPT 코드(예: 76390)를 기반으로 한 진단당 청구 구조를 통해 수익 창출. 의료보험 수가와 연동된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모델로 확장 가능.
•
연구서비스 및 컨설팅 (MRS Research 서비스)
- 병원, 제약사, 대학 연구소를 대상으로 MRS 데이터 분석, 대사체 정량화, 연구 자문 서비스를 제공.
- 임상시험 또는 신약개발 단계에서 비침습적 대사체 모니터링 수요 확보.
주요 고객
•
대학·종합병원 (핵심 B2B 고객)
→ MRS 검사 자동화 및 재현성 향상을 통한 임상 효율 개선 니즈 보유.
•
의과대학·연구기관
- 뇌 대사체 정량화 및 바이오마커 연구를 위한 고정밀 MRS 분석 수요 존재.
•
제약·바이오기업
- 퇴행성 뇌질환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효 검증용 비침습적 대사체 모니터링 도구 필요.
주요 채널
•
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(핵심 고객이자 KOL인 질환별 글로벌 상위 의료기관과의 파트너십 확보)
- 병원 및 연구기관과의 MOU·임상협약을 통한 시범 적용 → 정식 계약 전환을 기본 모델로서, 현재까지 10개국 22개 의료기관과의 다양한 공동연구 및 연구협력 프로젝트 수행
•
핵심 파트너십 : 서울대병원, 분당서울대병원, 존스홉킨스대학병원, 싱가포르국립대학병원 등 과의 전후향적 공동연구를 통한 파트너십 확보 완료.
•
학회·컨퍼런스 채널 : RSNA, ECR, ISMRM 등 주요 국제학회에서 임상 결과 발표 및 인지도 강화.
핵심 활동
•
AI 제품개발
- MRS 신호분석 자동화 및 대사체 정량화 알고리즘 개발.
- 리포트 자동생성, 임상 친화적 UI/UX 구현.
•
임상검증 및 인허가
- 서울대병원, NUH 등 다기관 임상 수행.
- KFDA 및 FDA 510(k), Breakthrough Device Designation(BDD) 획득 추진.
- 신의료기술평가 및 보험 수가 연계 목표.
•
데이터 및 연구개발
- 팬텀·다기관 임상데이터 수집 및 양자 딥러닝 기반 대사체 일반화 연구 수행.
•
글로벌 사업개발
- 병원·연구기관·기업 간 공동연구 및 해외 진출 네트워크 확장.
•
IP 관리 및 기술보호
- 인공신경망 기반 비침습 대사체 정량화 기술 관련 국내외 특허 다수 보유 및 기술이전 추진.
주요 성과
•
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(ISMRM) 최우수 연구상 수상
•
도전 K-스타트업 우수상
•
울산대병원 메디컬 해커톤 우수상
•
글로벌 기업 협업프로그램(지멘스) 최우수 기업 선정
•
K-스타트업 센터프로그램(이스라엘-미국) 최우수 기업 선정
•
스프링캠프 시드 투자 유치
•
등록 4건(한국 2건, 유럽 1건, 일본 1건), 출원 1건(미국 1건)












